주요내용
제 36회 아누가 국제 농식품 산업 박람회(ANUGA 2021)가 ”변형(Transform)“ 이라는 핵심 주제로 지난 10월 9일에서 13일까지 5일간 독일 쾰른(Köln)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추가적으로 디지털 형식인 아누가엣홈(Aguna@home)이 최초로 도입되어 3일(11일 ~ 13일)간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쾰른 아누가 식품 박람회는 1924년 출범이래, 격년으로 개최되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식품 박람회 중 하나이다. 올해는 지난회(2019년 7,972개)에 비해 축소된 규모로 전 세계 98개국 4,600개 이상의 참가자가 있었고, 이 중 독일을 제외한 해외 참가자의 비율은 92%였다. 유럽지역에서는 이탈리아(731개), 독일(400개), 스페인(377개), 네덜란드(192개), 프랑스(173개) 순이었다.
이번 박람회에서 볼 수 있었던 식음료 산업의 ‘주요’ 트렌드로는 대체육(Alternative Meat Proteins), 클린라벨(Clean Label)*, 편의(Convenience)&스낵(Snacking), 프리프롬(Free From)&건강식품(Health Foods), 식물성 단백질·식품(Plant-Based Proteins or Foods)*, 슈퍼푸드(Superfoods)*&고대곡물(Ancient Grains), 지속가능한 생산·패키지(Sustainably Produced or Packaged)의 7가지가 지배적이었다.
* 클린라벨 제품이란 인공 색소가 없는 천연 성분과 건강 관련 부가적인 이점을 지닌다.
*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에는 콩, 완두콩, 호박씨 그리고 해바라기씨가 포함된다.
* 2019년 점유율 기준 전 세계 상위 슈퍼푸드에는 치아씨드(18.4%), 코코넛(13.6%), 아몬드(13.3%)이다.
또한 미래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식음료 부문의 특별 쇼로 클린라벨, 프리프롬, 건강·기능식품, 대체육, 유기농 시장, 할랄푸드 제품을 위해 무대가 만들어졌다.
대체육* |
클린라벨 |
편의&스낵 |
프리프롬&건강식품 |
미식&특산품 |
할랄 |
코셔 |
식물성 단백질·식품 |
슈퍼푸드 &고대곡물 |
지속가능한 생산·패키지 |
개인상표 |
|
주요 트렌드 |
○ |
○ |
○ |
○ |
○ |
○ |
○ |
||||
미래시장 |
○ |
○ |
○ |
○ |
* 대체육 단백질에는 곤충(insects), 실험실 재배(Lab cultured)를 포함
* 클린 라벨은 유기농(Organic), 자연스러움(Natural), 비유전자조작(non-GMO) 제품을 포함
언론인과 시장 분석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선택한 아누가 2021의 10개 혁신 제품 중에는 지속가능성과 건강 및 편의성(스낵형 올리브), 클린라벨과 프리프롬&건강 (비트뿌리*와 사과로 만든 유기농 베지 바)과 육대체품(잭푸르트*로 만든 베지볼), 냉장편의&스낵(연어 육포 슬라이스 칩, 비트뿌리로 만든 핑거푸드 볼 스낵), 냉동편의식품(파스타 소스 블록, 스타터 및 안주용 가리비 비스킷), 지속가능성(가정용 퇴비로 재활용 가능한 커피 캡슐)등이 있다.
* 잭푸르트(jackfruit)는 방글라데시의 국가 과일이며, 부드러운 닭고기 구조와 유사하여 고기 대용품으로 사용된다.
* 비트(beet)는 사탕무의 뿌리부분으로 항산화작용 등이 특징이다.

* 한 업체가 여러 트렌드를 가질 수 있음.
* 미식&특산품(Gourmet&Specialty Foods): 아누가에 따르면 전 세계 50% 이상이 브랜드에 대한 이야기가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함.
– 이탈리아: 클린라벨, 프리프롬&건강식품, 식물성단백질/식품
– 독일: 클린라벨, 편의&스낵, 식물성단백질/식품
– 스페인: 클린라벨, 프리프롬&건강식품, 편의&스낵
– 네덜란드: 클린라벨, 편의&스낵, 식물성단백질/식품
– 프랑스: 클린라벨, 편의&스낵, 프리프롬&건강식품
시사점
유럽에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들도 시장 확대를 위해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 개발에 더욱 노력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현재 유럽시장의 주요 트렌드 중 하나인편의식품과 식물성(단백질) 식품은 한국 식품은 강점을 가진 부문이며 수출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만큼, 해당 제조사와 수출업체들도 유럽 시장 진출에 더욱 관심을 요한다.



BSI 블로그에 개재된 모든 글의 무단 복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반드시 출처를 남겨주세요.


- 1901년에 설립되어 현재 120년의 역사를 보유한, 세계 최초의 국가표준 제정기구
- ISO(국제표준화기구)의 창립 멤버로서, ISO 이사회 및 CEN(유럽표준화위원회) 이사회의 영구 이사 자격 보유
-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ISO 27001(정보보호경영시스템) 등 주요 국제표준의 근간 문서를 다수 발행
- 영국의 왕실 인정 기구(Royal Charter)이자, 영국 국가표준 제정기구(NSB)
- 표준에 대한 가장 경험이 풍부한 기관으로서, 전세계 193개국 86,000여 고객과 협업
- 미국 및 영국 시장점유율 1위에 해당하는 국제표준 인증기관으로서, 조직의 리스크관리, 성과개선, 비용절감, 지속가능성 보장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 개발, 인증, 심사, 교육 전문 기관
- 전세계 70여 BSI 사무소 보유로 글로벌 사업장 동시 대응 가능 및 브렉시트에 따른 시장 변화를 즉각 지원 가능한 거의 유일한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