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siblog.co.kr/wp-content/uploads/35515_50033-scaled.jpg)
이번 세미나에서는 네 분의 발표자와 함께 저탄소 사회와 지속 가능한 사회의 기반을 만들어가는 글로벌 프로젝트이자 환경 부문의 주요 기준이 되는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었으며, 다양한 기업에서 높은 열의를 갖고 세미나에 참여해주셨습니다. 코로나 이후 오랜만에 대면으로 진행되는 세미나인 만큼 직접 만나뵙고 인사드릴 수 있어서 매우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참석해주신 여러분들도 많은 것을 얻어가는 좋은 시간 되셨길 바랍니다 🙂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아래 문의처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프로그램
시간 |
주제 |
진행자 |
2:00 ~ 2:10 (10분) |
회사 소개 및 교육 안내 |
BSI 김민조 과장 |
2:10 ~ 2:40 (30분) |
CDP Climate change & Water Security 검증 방향-CDP 검증 사례 중심 |
서스틴앤컴퍼니 대표/CDP 남상우 선임검증심사원(BSI) |
2:40 ~ 3:10 (30분) |
CDP CC & Water Security 검증 사전준비사항 및 응답서 작성 방법 |
에코시안 이상인 실장 |
3:10 ~ 3:20 (10분) |
Break time |
|
3:20 ~ 3:50 (30분) |
2023 CDP 문항 및 평가 주요 개정 사항 |
CDP 한국위원회 이다연 책임 |
3:50 ~ 4:10 (20분) |
Best Practice Sharing – CDP CC 준비 및 평가 대응 |
SK하이닉스 최규진 TL |
4:10 ~ 4:30 (20분) |
Q&A 및 마무리 |
세미나 진행 사진
회사 소개 및 교육 안내 – BSI 김민조 과장, BSI 송수진 팀장
CDP Climate change & Water Security 검증 방향 (CDP 검증 사례 중심) – 서스틴앤컴퍼니 대표/CDP 남상우 선임검증심사원(BSI)
CDP CC & Water Security 검증 사전준비사항 및 응답서 작성 방법 – 에코시안 이상인 실장
2023 CDP 문항 및 평가 주요 개정 사항 – CDP 한국위원회 이다연 책임
Best Practice Sharing: CDP CC 준비 및 평가 대응 – SK하이닉스 최규진 TL
지난 CDP 세미나
세미나 자료는 참석자에 한하여 제공되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인증에 관한 문의, 교육 문의는 아래 문의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저희 BSI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wp-content/themes/bsi2021/images/footage/cc-1.png)
![](/wp-content/themes/bsi2021/images/footage/cc-2.png)
![](/wp-content/themes/bsi2021/images/footage/cc-3.png)
BSI 블로그에 개재된 모든 글의 무단 복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반드시 출처를 남겨주세요.
![](/wp-content/themes/bsi2021/images/footage/why-1.png)
![](/wp-content/themes/bsi2021/images/footage/why-2.png)
- 1901년에 설립되어 현재 120년의 역사를 보유한, 세계 최초의 국가표준 제정기구
- ISO(국제표준화기구)의 창립 멤버로서, ISO 이사회 및 CEN(유럽표준화위원회) 이사회의 영구 이사 자격 보유
-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ISO 27001(정보보호경영시스템) 등 주요 국제표준의 근간 문서를 다수 발행
- 영국의 왕실 인정 기구(Royal Charter)이자, 영국 국가표준 제정기구(NSB)
- 표준에 대한 가장 경험이 풍부한 기관으로서, 전세계 193개국 86,000여 고객과 협업
- 미국 및 영국 시장점유율 1위에 해당하는 국제표준 인증기관으로서, 조직의 리스크관리, 성과개선, 비용절감, 지속가능성 보장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 개발, 인증, 심사, 교육 전문 기관
- 전세계 70여 BSI 사무소 보유로 글로벌 사업장 동시 대응 가능 및 브렉시트에 따른 시장 변화를 즉각 지원 가능한 거의 유일한 기관